'바흐 슈트 ( Suite )'에 해당되는 글 29건

  1. 2011.04.17 바흐 프랑스 모음곡 1번 in D minor BWV, 812


바흐 프랑스 모음곡 1번 in D minor BWV, 812
Johann Sebastian Bach ( 1685-1750 )
harpsichord : Pieter Jan Belder


작품 해설
바흐의 작품 중에는 작곡연대가 확실하지 않은 것들이 많은데, <프랑스모음곡>은 1722년경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 6곡으로 된 이 작품은 5곡까지는 1722년에 출판된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1권에 포함되어 있다.
1722년이라면 바흐의 작곡연대구분에서는 쾨텐시대 (1717~1723)에 속하는데, 바흐 연구가들은 1720년을 기점으로 해서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것이 보통이다. 1720년은 바흐가 사랑하는 첫번째 아내인 마리아 바르바라를 잃은 해로써, 그는 이로인한 상실감으로 한때 슬픔의 나날을 보냈지만, 1년 후 안나 막달레나와 재혼하여 다시 행복을 찾고 왕성한 작곡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바로 이때가 쾨텐의 후기시대로써 바흐는 궁정악장의 직무수행을 위해 많은 협주곡과 실내악곡 등을 썼으며, 한편 직무와는 별도로 자유로운 창작활동도 했다. 이로서 탄생한 곡들이 <프랑스모음곡>을 포함하는 안나막달네나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 제1권,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제1권, 인벤션과 신포니아 등의 일련의 클라비어를 위한 독주곡들이다.

 

 

<프랑스모음곡>은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모음곡들 중에서도 매우 오소독스하고 명쾌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각 모음곡의 구성에 있어서도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라는 4개의 기본 춤곡을 주로하고 사라방드와 지그의 사이에 임의로 2~4곡의 츰곡을 끼워넣고 있는데, 이는 프랑스 클라브생악파의 거두 F. 쿠프랭이 확립한 모음곡 양식의 질서를 충실히 따르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제1번부터 제3번까지는 6악장, 제4번과 제5번은 7악장, 제6번은 8악장으로 곡의 규모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프랑스모음곡>은 괴텐 시대의 작품. 바흐가 안나 막달레나와 재혼한 시대이다. 안나는 음악적 재능에도 혜택을 입은 부인이었으므로, 바흐가 특히 애처를 위해서 이것을 썼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기교적으로는 애처의 능력에 따른 범위에서, 그리고 내용은 깊은 애정이 흘러 넘치도록 한 곡이다. 곡 천체가 느낌이 프랑스적이라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고, 앞의 영국 모음곡이 장중한 느낌인데 비해 우아하고 경묘하다. 바흐는 이 무도곡에 제각기 음악적인 인격을 주어 예술의 최고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바흐(J.S.Bach)가 두 번째 아내 안나 막달레나와 결혼한 후인 1722년경에 <프랑스 모음곡>을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이 시기는 바흐가 쾨텐 시대에서 라이프찌히 시대로 옮겨가는 시기이므로 클라비어나 합주곡의 창작에 주력하고 있을 때이기도 했다. 가볍고 우아한 느낌이 있고, <영국 모음곡>과 비교해볼 때 그만큼 규모가 크고 장중하지 않으며, 전주곡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프랑스 모음곡 1번 라단조 BWV 812
꾸밈음이 풍부하며 기품이 있는 가락을 지닌 알르망드로 시작한다. 2부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부분은 되풀이되어 연주된다. 이어 쿠랑트, 사라방드, 미뉴엣, 지그로 이어진다.
<프랑스 모음곡>에 들어 있는 각 곡은 알르망드, 쿠랑트, 사라방드, 지그라는 모음곡의 형식대로 놓여 있으며, 사라방드와 지그 사이에 자유로이 각종 무곡(이를테면 미뉴에트나 가보트퐁)이나 아리아 등을 삽입하고 있다. 이 시대의 모음곡에 정형화된 각 무곡은 이미 고도로 양식화되어 버렸다고는 하나 알르망드는 독일적, 쿠랑트는 프랑스적, 사라방드는 스페인적, 지그는 영국적으로 각각 기원적인 무곡적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그 풍부한 통일성에 흥미로운 점이 있다고 하겠다. 그 위에 바흐의 모음곡에는 당시 아직 실제로 춤과 결부되어 있던 미뉴에트와 가보트가 도입되어 있어 거기에 일종의 대조의 묘를 보여 주고 있어 흥미가 깊으며, 이들 각 곡이 모두 동일한 조로 통일되어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연주 시간은 전부 지정대로 반복하면 어느 것이나 모두 15∼17분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그런데 이 제1번 d단조는 사라방드와 지그의 사이에 메누에트 Ⅰ,Ⅱ가 두어져 전체는 5개의 무곡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다 기품에 찬 아름다운 선율이 노래 불리어 간다. 알르망드는 두부둔으로 나뉘어 저마다 되풀이된다. 풍부하게 사용되고 있는 꾸밈음도 우아하고 그야말로 프랑스적인 향기를 띠어 매우 효과적이다.
친근미 있는 명쾌한 선율을 가진 쿠랑트도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어 명쾌한 리듬감이 쾌적한 템포 속에 실로 생기 있는 곡상을 고조시켜 간다. 이어지는 사라방드는 8마디와 16마디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9-16마디에서는 처음 8마디의 선율을 저음에 두고 이 선율에 고유한 깊은 정감을 한층 두드러지게 하고 있다. 서법은 극히 화성적이다.
미뉴에트Ⅰ-Ⅱ를 연주한 후, 다시 I로 돌아오는 것이 연주상의 상식이 되어 있는데, 악보에 그 지시는 없다. 그런 주법상의 형태로 보면, Ⅱ가 후대에서의 트리오에 해당하게 되는데, 이 곡의 경우에는 미뉴에트 주부와 트리오의 대조성이라는 것은 없고 분명히 동일한 동기에 의거한 2개의 미뉴에트의 병렬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점음표의 리듬이 특징을 내고 있는 지그는 32분음표에 의한 급속한 움직임이 약간 정체하기 쉬운 느낌의 리듬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어 후반의 개시부는 첫머리 선율의 반행형을 쓰고 있다. 바흐의 지그에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많이 볼 수 있는 수법이다. 서법은 푸가토로 시작하는 3성의 대위법 양식이다.
     
 
     
1. 알르망드
4/4박자.. 우아한 느낌을 주는 풍부한 장식음에 특색이 있으며, 즉흥성이 강한 곡이다. 베이스의 하강 음계를 배경으로 자유로운 음형이 펼쳐지고 있다...알르망드는 독일의 옛 춤곡인데. 고전 모음곡에서 제1악장의 곡으로 쓰이는 것이 상례이다. 일반적으로 속도는 중용인데 이 곡은 약간 느리게 움직임을 갖고 흐르는 듯이 아름답게 친다. 제9마디는 노래하는 듯이 표정을 가지고 연주한다. 거침없이 흐르는 선율을 가진 알르망드는 기품이 넘치는 악장으로 약간의 애조 띤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2. 쿠랑트
3/2박자...생기 있는 리듬 위에 명쾌한 멜로디가 흐른다...쿠랑트는 프랑스 말인 "달린다"는 말에서 비롯된 춤곡으로 고전 모음곡에서는 제2악장으로서 쓰이는 것이 상례이다. 쿠랑트에는 2개의 형이 있으며 이 곡은 프랑스풍으로서 너무 빠른 속도가 아니라 확실하고 힘있는 터치로 연주한다. 알르망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주제를 사용하고 있는 프랑스풍의 쿠랑트입니다.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어 명쾌한 리듬감이 쾌적한 템포 속에 생기 있는 곡상을 고조시켜 간다.
 
3. 사라방드 3/4박자
화성적인 서법으로 씌었으며, 매우 단순한 곡이면서 정감이 푸짐하다. 이 곡에 이미 소나타 형식이 화음으로 싹트기 시작했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사라방드는 16세기초에 스페인에 나타난 춤곡으로서 고전 모음곡의 제3악장에 쓰이는 것이 상례이다. 3박자로 템포가 느리며, 장중한 표정을 지닌다. 이 곡은 화성적인 움직임을 지닌 매우 아름다운 곡이다. 정감을 불러 넣어 선율을 노래하게 한다. 극히 화성적이며 장엄한 분위기 가운데에 깊은 정감이 가득 차있는 곡이다. 8 마디와 16 마디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9~16마디에서는 처음 8 마디의 선율을 저음에 두고 이 선율에 고유한 깊은 정감을 한층 두드러지게 하고 있다.
 
4. 미뉴엣
1,2. 3/4박자...미뉴엣2는 트리오의 구실을 하는 것이며, 미뉴엣1은 되풀이되는 것이다. 이 두 미뉴엣에는 동기의 관련이 엿보인다. 미뉴엣1은 16세기 무렵부터 프랑스에서 생긴 춤곡으로 프랑스말인 "작다"란 말이 어원으로 되어있다. 템포는 중용보다 빠르게 우아한 기분이 넘치는 곡상을 지닌다. 이 곡은 전원 춤곡다운 취향을 갖고 우아하게 친다. 5. 미뉴엣 2의 제7마디는 손가락 놀림에 주의하여 음이 끊어지지 않도록 친다.
이 모음곡에서는 미뉴에트가 2번이나 나타나는데, 미뉴에트Ⅰ, Ⅱ를 연주한 후 다시 미뉴에트 I로 돌아오는 것이 연주상의 상식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악보상에 이러한 지시는 없습니다. 이러한 주법상의 형태로 보면, Ⅱ가 후대에서의 트리오에 해당하게 되는데, 이 모음곡의 경우에는 미뉴에트 주부와 트리오의 대조성이라는 것은 없고 동일한 동기에 의한 2개의 미뉴에트 병렬이라는 느낌이 강합니다만 트리오의 느낌으로 연주하는 연주가들도 있다. 한편 이 모음곡에서는 미뉴에트 Ⅱ의 길이가 Ⅰ의 두 배 정도가 된다.
 
5. 지그 4/4박자
3성의 대위법으로 씌어 있으며 부점 리듬에 의한 4분의4박자라는 희귀한 형태레 그 특색이 있다. 장식음도 많이 쓴 우아한 지그이다. 지그는 16세기의 영국에서 유행한 춤곡이 그 기원이라고 하며 8분음의 3박자와 8분의6박자 등의 빠른 템포와 푸가적인 서법. 또는 제2부에서 바뀐 주제를 지닌 것이 특징으로 보는 곡이다. 이 곡은 장중한 부점 리듬을 가진 3성의 푸가토이다.
부점의 준엄한 리듬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지그는 32분음표에 의한 급속한 움직임이 약간 정체하기 쉬운 느낌의 리듬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며 후반 개시부는 첫머리 선율의 반행형을 쓰고 있다. 바흐의 지그에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서법은 푸가토로 시작하는 3성 대위법 양식이다. 후반부에서 주제가 자리바꿈 되면서 시작되는 것은 종래의 지그와 동일한 방법이지만 2/2박자를 사용한 것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오늘날 가정음악으로서 사랑을 받고 있는 프랑스모음곡은 모두 6곡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이 가운데 5곡이 바흐의 2번째 아내 안나 막달레나에게 바쳐졌다. 1720년 최초의 아내 마리아 바르바라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 뒤 바흐는 쾨텐의 궁정가수였던 안나를 아내로 맞아들였고 새 아내를 위해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을 작곡했다.
이 가운데 프랑스모음곡의 5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혼시기인 1722년 무렵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쾨텐시절의 바흐는 창작의욕이 왕성한데다가 쾨텐의 궁정에 베를린에서 만든 새로운 하프시코드가 구입되는 등 좋은 환경이었기 때문에 중요한 작품(기악곡의 대부분)들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물론 프랑스모음곡도 마찬가지이다.
프랑스모음곡은 영국모음곡처럼 전통적인 고전모음곡의 형식에 따라 작곡되었으며 독일적인 알라망드(Allemande), 프랑스적인 쿠랑트(Courante), 스페인적인 사라방드(Sarabande), 영국적인 지그(Gigue)라는 양식화된 4개의 기본을 중심으로 당시 유행하고 있던 가보트(Gavotte), 미뉴에트(Menuet), 폴로네이즈(Polonaise), 파스피에(Passepied) 등의 춤곡을 사라방드와 지그 사이에 넣었다.
그러면서도 프랑스모음곡에는 영국모음곡에서 처럼 각 곡의 처음에 전주곡이 없으며 영국모음곡에 비하여 규모가 작으며 연주도 비교적 쉽지만 고도로 세련된 아름다움에 더욱 완성된 바로크 모음곡의 전형을 발견할 수 있다. 표제는 바흐 자신이 붙인 것은 아니며, 두 모음곡 모두 6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Bach French Suites No. 1 in D minor BWV, 812
harpsichord : Pieter Jan Belder

반응형
Posted by 불멸의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