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Tannhauser) 솔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4.07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Tannhauser) 솔티


바그너 (오페라) 탄호이저 ( Tannhauser )
Richard Wagner ( 1813-1883 )
Conductor : Georg Solti  ( Vienna State Opera Chorus - Vienna Philharmonic )

로엔그린에 이어 살펴볼 바그너의 초기 오페라 탄호이저의 소재는 바로 탄호이저와 베누스베르크의 전설입니다.  독일 내에서만 적어도 몇 가지의 버전이 있지만 튀링엔 지방의 전설이 가장 유명한 편으로, 중세의 실존 인물로 십자군 원정을 다녀왔다고 전해지는 알려진 탄호이저와 휘르젤베르크 산의 동굴 안에 존재한다고 전해지던 전설의 환락처 베누스베르크(Venusberg)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탄호이저(Tannhauser. ?-1250)는 (비록 이견도 있으나) 13세기 남부 독일에서 실존하였다고 전해지는 음유시인(Minnesinger)이자 기사입니다. 그는 귀족가문 출신으로 오스트리아 공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에서 궁신으로 봉직하기도 하였으며, 독일기사단(Deutsche Ritterorden)의 일원으로 1213년도의 제 5차 십자군 원정에도 참여하였던 인물이라고 합니다. 그는 십자군 원정에서 돌아오며 많은 풍자시와 매우 관능적인 노래들을 남겼다곤 하는데,  구전으로 내려오던 대부분의 작품은 현재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탄호이저를 유명하게 한 것은 단순히 민네장으로써가 아닌 그를 둘러싸고 있는 한 전설 때문입니다.
튀링엔의 아이제나하 지역에는 휘르젤베르크라고 하는 밋밋한 산이 있으며, 북쪽 산등성이의 절벽에는 휘르젤록이라고 하는 뻥 뚫린 동굴이 하나 있습니다. 오랜 전설에 따르면 이 동굴에서 젊은 미인들이 나와 남자들을 유
혹하여 동굴 안으로 끌어들였으며, 때때로 동굴 안에서는 정체불명의 비명소리와 탄식, 웃음소리가 들려왔다고 합니다. 동굴 안에 들어간 남자들은 그 이후로 두번 다시 나오지 못했다는 전설과 함께요.
바르트부르크 백작이 개최한 궁정음악대회에 참여하기 위해 튀링엔에 도착한 탄호이저는 미의 여신 베누스의 꾐에 빠져 휘르젤록 동굴 속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7년의 기간동안 베누스를 찬미하며 살아오던 그는 어느 날 갑자기 이러한 방탕한 환락생활에 싫증과 환멸을 느껴 베누스 여신을 버리고 다시 세상으로 돌아옵니다.
젊은 기사는 자신의 방탕한 생활을 참회하기 위해 로마로 갔는데, 당시의 교황은 깐깐하기로 소문난 우르바누스 4세(Urbanus IV)였습니다. 기사의 고해를 들은 교황은 깜짝 놀라며 너같은 놈이 구원을 받느니 내가 들고있는 나무단장이 살아나 꽃을 필 것이라며 탄호이저를 매몰차게 내쫒습니다. 쫒겨난 탄호이저는 쓸쓸히 휘르젤록으로 돌아갑니다.
탄호이저가 떠난 지 3일째 되는 날, 우르바누스 4세의 단장이 살아나 꽃이 피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신의 섭리를 깨닫게 된 우르바누스 4세는 황급히 사자를 띄워 자신이 쫒아낸 기사를 다시 불러들였습니다마는, 수소문 끝에 그가 휘르젤록 동굴 안으로 다시 돌아갔다는 사실만을 확인하였으며 그 뒤로는 탄호이저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이 전설은 15세기경 독일에서 서정시로 만들어져 인기를 끌었으며, 수많은 버전으로 각색되어 독일 각지로 퍼져나갔습니다. 비록 역사적 사실과는 관련이 없으나, 이 전설은 기독교와 북구신화, 도덕과 방탕함, 절제와 관능의 사회적ㆍ심리적 대립구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그너는 이 오래된 전설을 토대로 작품을 만드는 데 있어 한 가지의 대립구도를 메인 주제로써 부각시켰습니다. 순결함의 상징인 바르트부르크 백작의 조카딸 엘리자베스와 환락과 미의 상징인 베누스의 구도를 중점적으로 부가시켜, 결국 방탕함에 쩔어 모든 제도권에서 버림받은 남자는 순결한 여인의 지순한 사랑에 의해서만 구원을 받게 된다는 다소 바그너적인(?) 결말을 내었습니다
배 경 해 설
기독교와 이교, 새로운 신과 옛 북구 신들
서기 9세기경 카를 대제에 의해 게르만 족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긴 하였지만, 그렇다고 하여 옛 튜튼인들이 믿던 북구신화의 신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독일 북동부의 메클렌부르크(Mecklenburg), 폼메른(Pommern), 프로이센(Preussen) 지역의 주민들은 아직도 이교를 신봉하고 있었고, 토르나 오딘 등 고대 북구신들을 숭배하던 사람들은 북동부 독일에는 11세기까지, 스칸디나비아에는 13세기, 일부 지역에서는 15세기까지 다수가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사회적 주도권을 쥐고 있던 기독교회는 온갖 방법으로 이러한 토착 민간신앙의 뿌리를 뽑아내려 했습니다. 각 교구 주교들은 모든 형태의 주술행위를 금지시키고 성스러운 나무를 잘라버리며, 이교 우상이나 신비로운 룬 문자를 모조리 파괴하고 오딘이나 토르 신을 숭배하는 사제들을 모조리 처형하는 등 이교 신앙을 강력히 억압하였습니다. 이러한 이교신앙의 박멸과 민간주술행위의 극단적인 금지는 이후 점차 광기를 띄게 되어 유명한 마녀사냥으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제도권 밖으로 쫒겨난 이교 신앙은 민간 전승이나 설화, 전설, 심자어는 기독교 성자들의 형상을 하여 주민들 사이에 남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 중 몇몇은 현재에도 남아 민간설화의 자생력의 사례로 언급되곤 합니다) 이러한 전승설화는 이후 여러 인문사가들에 의해 일부가 수집되어 우리에게 남게 되었으며, 이후 제3제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다소 그로테스크한 민족주의적 형태로 재생되어 흉악한 목적으로 악용되게 됩니다.
탄호이저와 베누스베르크의 전설 속에서 남자들을 동굴 속으로 유인하던 미지의 존재는 바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미의 여신으로 불리던 비너스(혹은 베누스), 혹은 북구신화에서 사랑과 다산의 여신으로 등장하던 프레이야(혹은 홀다)였다고 합니다. 미의 여신 홀다는 중세기를 거치며 앞서 말한 기독교적 박해와 (결정적으로)그림 형제의 동화에 의해 프라우 횔레, 즉 밤마다 나쁜 아이들을 잡아가 먹어버리는 악한 역할로 역할설정이 완전히 바뀌게 되었습니다.

Wagner - Tannhauser Conductor : Georg Solti ( Vienna State Opera Chorus - Vienna Philharmonic )
전곡 Play
CD1
CD2
CD3
paint   Sheri Bakes
반응형
Posted by 불멸의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