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소나타'에 해당되는 글 80건

  1. 2010.04.01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1번 in A-flat major (빌헬름 캠프)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번 31번 in A-flat major, Op. 110
Ludwig van Beethoven ( 1770-1827 )
Piano : Wilhelm Kempff


이 소나타의 처음 착상은 1820년의 행복하고 평화로운 여름날에 얻었다고 하는데, 완성된 날짜는 베토벤 자필로 1820년 12월 25일이라 씌어 있습니다. 이 소나타는 아무에게도 헌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날짜는 알 수 없지만 베토벤이 신트라에게 부친 편지에 의하면, 이 내림가 장조 소나타와 다음의 다 단조 소나타는 브렌타노 부인에게 헌정하는 것이라고 쓰여 있음에도 완성된 작품에는 웬일인지 헌사(獻辭)가 없습니다.
천재의 창작 과정에서는 늘 크나큰 흥미로움과 놀라움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소나타와 같이 베토벤의 작품 중에서도 고상하고 우아한 아름다움이 흘러 넘치는 제1악장이나, 또 그의 생애의 고뇌가 그대로 드러나는 듯한 감동적인 아리오소와 푸가 등의 작품에서는, 그 창조적인 과정을 스케치 단계부터 상세히 짚어 볼 때 이런 느낌이 한층 강하게 듭니다.
제1악장
Moderato cantabile molto espressivo

‘con amabilita’라고 쓰여진 주제에 의해 구름 한 점 없이 활짝 갠 날씨의 화창함과 그 다음 악절에 이어지는 사랑의 노래, 이와 같이 아름다운 악상으로 시작되는 작품은 베토벤의 다른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입니다. 베토벤의 스케치 노트에 의하면, 이 아름다운 주제의 골격과 그 변화를 처음부터 단번에 써내려 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것을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30의 3번, 사 장조의 주제와 유사한 데에서 지난 날의 행복한 추억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상상합니다. 제2 주제는 음계의 하행 동기이며, 제1악장 전체의 행복한 기분 속에서 경과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을 뿐입니다.
전개부에서는 제1 주제의 이 ‘사랑의 주제’가 단조에 의해 제시되고, 그 후 여덟 번에 걸쳐 주제 반복이 이루어진 채 그대로 재현부에서 주제의 복귀가 이루어지는 특이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스케치 노트에 의하면, 베토벤은 주제의 착상과 더불어 단조에 의한 전개부의 시작을 생각하고는 거침없이 단번에 재현부까지 써 내려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왼손 반주 부분의 음형에 대해서는 하나하나마다 변화를 주어, 이 부분에 대해 매우 고심하고 숙고하였음을 몇 번이나 다시 쓰여진 자필 원고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주제 반복 후 재현부는 제시부와 거의 같은 형식으로 쓰여져 있는데, 주목할 곳은 코다 부분입니다. 이 몇 마디 되지 않는 선율에 대한 베토벤의 집착은 단순히 넘길 만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잊기 안타까운 이 행복한 기분을 어떻게 하면 마음을 끌 만한 선율로 나타낼 것인가에 대해 베토벤은 몇 번이나 고민을 거듭하며 다시 고치고 고쳤습니다. 그럼에도 그것은 처음 생각과는 달리 마음을 매료시키는 최선의 작품이 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행복했던 기분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한 평범한 악절은 몇 번이나 지워졌다가 다시 쓰이면서 보다 간결해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베토벤은 한번 쓴 악보를 고쳐 쓰는 데 있어서도 비범한 재주를 지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제2악장 Allegro Molto
이것은 독립된 2박자의 스케르초이며, 불안한 기분과 당돌하고 제멋대로인 감정이 착잡하게 어우러진 삽입적인 악장입니다. 이 주제의 착상은 제1악장의 제2 주제 동기를 검토함으로써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 마르크스에 의해 그 당시 유행했던 풍자적 민요 `난 쓸모 없는 놈이야’라는 노래의 반복 구절을 베토벤이 의식하여 거기에 짜 맞춘 것인지 어떤지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트리오는 한번 보면 전혀 다른 동기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잘 분석해 보면 스케르초 동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제1악장 제1 주제 종결부의 발전 선율에서, 또 제시부의 마지막에서도 그 동기 부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제3악장 Adagio ma non troppo
아다지오는 레시타티브에 의한 서주부와 2중의 아리오소 도렌테와 푸가라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베토벤이 제1악장의 착상을 얻었을 때에는 이 작품에 개인적인 감상의 고백──즉, 그 자신의 마음 가장 깊숙한 곳에 담아 둔 생애의 고뇌에 대해서 호소한다는 점 등은 생각해 보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침 그 즈음 5년이나 걸쳐서 펜을 움직이고 있었던 <장엄 미사> 작곡의 영향도 받은 베토벤은, 이 악장에서 신과의 직접적인 대화, 죽음의 고뇌와 그것에 대한 영원한 안식을 감지하고, 늙어버린 자신이 갈망하는 정신적 평화, 그러한 정신 내면 세계의 관조가 실로 심각하게 가슴을 죄듯이 슬픔에 넘치게 되면서 아리오소의 음악을 탄생시키게 되었습니다.곡은 가슴속의 가장 깊숙한 문을 열듯이 전개됩니다. 또, 레시타티브가 갖는 무언의 호소력에 이끌려 베토벤은 고뇌하고, 자신의 비운을 탄식하고, 나아가 그 속에서 빛을 구하며 용기를 갖고 투쟁에 뛰어든 인생, 그것은 대체 무엇을 위한 것이었던가 등을 생각하며 체념에 잠긴 채 조용히 떠올리고 있는 것입니다.

Beethoven Piano Sonata No, 31 in A-flat major, Op. 110 Piano: Wilhelm Kempff
전악장 Play
1악장   Moderato cantabile molto espressivo
2악장   Allegro Molto
3악장   Adagio ma non troppo
Paint William Bouguereau
반응형
Posted by 불멸의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