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A major D90
타르티니 2010. 4. 7. 05:07 |
|
|
타르티니 - 바이올린 협주곡 in A major, D90
Giuseppe Tartini ( 1692-1770)
Violin : Laszlo Paulik Conductor : Gyorgy Vashegyi ( Orfeo Orchestra )
Giuseppe Tartini ( 1692-1770)
Violin : Laszlo Paulik Conductor : Gyorgy Vashegyi ( Orfeo Orchestra )
1550년 경부터 17세기 전반에 걸쳐 이탈리아와 독일을 중심으로 발달한 바로크 음악은 음악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의미를 지닙니다.
바로크 그 어원은 포르투칼어로 "불규칙하게 생긴 진주" 라는 뜻... 그리고 그 당시에는 기괴하고 쾨폐적인 "거친음악"으로 해석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음악가들이 보다 발전된 양식으로 시각을 넓혀 점차 "장식적"이라는 의미로 정의 되었습니다.
오늘날 바로크 양식은 음악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으로 퍼져 나간 미술과 건축물 등 유럽의 문화 양식 전체를 가리킵니다.
오늘날 바로크 양식은 음악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으로 퍼져 나간 미술과 건축물 등 유럽의 문화 양식 전체를 가리킵니다.
이탈리아의 바로크 시대, 바이올린의 명인 타르티니는 바이올린 협주곡들에서 우아한 선율과 아름다운 화음,
선명한 프레이즈로 바이올린 만이 전할 수 있는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음악가...그렇게 타르티니는 그 자신이 바이올린의 화려한 기교를 자랑하기도 했지만 악기 구조를 개량할 정도로 악기에 대한 음향 학상의 문제를 연구하여, 바이올린의 구조를 개량하거나, 새로운 이론의 전개를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외에도 교육자, 이론가로서도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에 기여한 업적이 크며 주요 작품으로는 그 유명한 바이올린 소나타 "악마의 트릴"을 비롯하여 150곡의 바이올린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 140곡의 합주 협주곡, 신포니아, 실내악 등 많은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그는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외에도 교육자, 이론가로서도 이탈리아 바로크 음악에 기여한 업적이 크며 주요 작품으로는 그 유명한 바이올린 소나타 "악마의 트릴"을 비롯하여 150곡의 바이올린과 하프시코드를 위한 소나타, 140곡의 합주 협주곡, 신포니아, 실내악 등 많은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Tartini - Violin Concert in A major, D90
Violin : Laszlo Paulik Conductor : Gyorgy Vashegyi ( Orfeo Orchestra )
Violin : Laszlo Paulik Conductor : Gyorgy Vashegyi ( Orfeo Orchestra )
전악장 Play |
|
1악장 Allegro |
|
2악장 Adagio |
|
3악장 Allegro assai |
반응형
'타르티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A major D101 (0) | 2010.04.07 |
---|---|
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A major D96 (0) | 2010.04.07 |
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F major D69 (0) | 2010.04.07 |
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E minor D56 (0) | 2010.04.07 |
타르티니 바이올린 협주곡 in E major D47 (0) | 2010.04.07 |